콘텐츠로 건너뛰기
How to Use Vocal Presets in Cubase: A Guide

Cubase에서 보컬 프리셋 사용하는 방법: 가이드

Cubase의 보컬 프리셋은 EQ, 컴프레션, 디에싱, 컬러, 공간 효과를 한 번에 적용할 수 있는 트랙/FX/스트립 프리셋입니다. 이 가이드는 올바른 프리셋 선택, 적절한 게인 설정, 퀵 컨트롤 매핑, FX 채널 라우팅, 씬 자동화, 레인별 버전 저장 방법을 보여주어 휴대폰, 이어폰, 대형 스피커에서도 보컬이 잘 들리도록 합니다. 이 DAW에 맞게 조정된 검증된 시작점을 원한다면, 큐레이션된 Cubase 보컬 프리셋을 청취한 후 마이크와 룸에 맞게 임계값과 전송을 미세 조정하세요.


I. Cubase에서 “보컬 프리셋”이란 무엇인가

Cubase에서 “보컬 프리셋”은 보통 다음 자산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합니다:

  • 트랙 프리셋 (.vstpreset) — 트랙의 인서트, 채널 스트립/EQ, 선택된 라우팅을 불러옵니다.
  • FX 체인 프리셋 (.vstpreset) — 모든 트랙에 적용할 수 있는 인서트 스택(순서 + 설정)만 포함합니다.
  • 채널 스트립/EQ 프리셋 — 기본 스트립 + EQ만 포함; CPU 사용량이 적고 기본 기능만 사용하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 트랙 아카이브 (.xml) — 현재 프로젝트에 미리 연결된 리그(Lead, Doubles, Harmonies, FX 채널)를 가져옵니다.
  • 프로젝트 템플릿 — 레인, 그룹, FX 채널이 준비된 새 세션을 엽니다.

프리셋 사용은 단순히 불러오는 것이 아니라, 게인, 디에스, 존재감, FX 밸런스를 당신의 목소리에 맞추는 것입니다. 아래 단계는 그 적응을 빠르고 반복 가능하게 만듭니다.

II. 사전 점검 (프리셋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사전 점검 목록
  • 드라이버 및 지연: Windows는 ASIO / macOS는 Core Audio; 트랙용 64–128 샘플; 믹싱 시 나중에 올리세요.
  • 세션 샘플레이트: 음악은 44.1 kHz (비디오 전달은 48 kHz).
  • 입력 피크 목표: 공연 볼륨으로 노래하세요; 처리 전 원시 입력을 −12에서 −8 dBFS 사이로 맞추세요.
  • 컨트롤 룸 (선택 사항): 별도의 큐 믹스와 토크백이 필요하면 활성화하세요.
  • MediaBay 열기: F5 키를 누르세요; 프리셋을 빠르게 탐색, 태그, 호출하는 데 사용합니다.

III. 불러오기 방법 (및 사용 시기)

1) 트랙 프리셋 (가장 빠르고 전체 체인)

  1. Lead Vox라는 이름의 오디오 트랙을 생성하거나 선택하세요.
  2. 인스펙터에서 트랙 프리셋 불러오기를 클릭하고 보컬 프리셋을 선택하세요.
  3. 순서를 확인하세요: EQ → Comp A → De-Ess → (Color/Sat) → Comp B (캐처) 및 전송 설정.
  4. 즉시 트랙 프리셋 저장Lead — Clean (YourName)으로 하여 조정이 원본을 덮어쓰지 않도록 하세요.

사용 시기: 한 번의 클릭으로 전체 레인을 바꾸고 싶을 때.

2) FX 체인 프리셋 (정밀 교체)

  1. 보컬 트랙에서 인서트 랙 메뉴를 여세요.
  2. FX 체인 프리셋 불러오기를 선택하고 체인을 고르세요.
  3. 조정한 후, 빠른 호출을 위해 이름을 붙여 다시 저장하세요.

사용 시기: 이미 라우팅/전송이 설정되어 있고 톤/다이내믹만 변경하고 싶을 때.

3) 트랙 아카이브 (.xml) (전체 장비 가져오기)

  1. 파일 → 가져오기 → 트랙 아카이브…를 선택하고 .xml 파일을 고르세요.
  2. 가져올 트랙을 선택하세요 (리드, 더블 L/R, 하모니, FX: 슬랩/플레이트).
  3. 리드 트랙의 마이크 입력을 설정하고 녹음하세요.

사용 시기 현재 프로젝트에 전체 보컬 시스템을 바로 적용하고 싶을 때.

4) 프로젝트 템플릿 (즉시 시작 가능)

  1. 허브에서 보컬 템플릿을 사용해 프로젝트를 만드세요.
  2. 트랙, 그룹, FX 채널이 미리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력만 설정하고 시작하세요.

사용 시기 모든 새 노래가 “스튜디오 준비 완료” 상태로 열리길 원할 때.


IV. 게인 스테이징: 성패를 좌우하는 단계

  1. 마이크 프리 먼저: 인터페이스를 조정하여 원시 피크가 약 −12에서 −8 dBFS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세요.
  2. 컴프 A에 트림 입력: 구간에서 약 3–5 dB 게인 리덕션이 걸리도록 입력/트림 단계를 사용하세요 (계속해서 과도하게 걸지 마세요).
  3. 체인 이후: 트랙 피크를 약 −6에서 −3 dBFS 사이로 유지하세요; 마스터링은 나중에 하세요.
  4. A/B 비교 시 레벨 매칭: 공정한 비교를 위해 최종 트림을 추가하세요; 더 크게 들리는 것이 종종 “더 좋게” 느껴집니다.

V. 퀵 컨트롤 = 빠른 핸즈온

가장 자주 조작하는 파라미터를 트랙 퀵 컨트롤에 한 번 매핑하고 프리셋으로 저장하세요:

  • QC1 = 트림/입력
  • QC2 = 디-에스스 양
  • QC3 = 바디(로우 셸프)
  • QC4 = 프레즌스(와이드 벨)
  • QC5 = 에어(하이 셸프)
  • QC6 = 컴프 A 임계값
  • QC7 = 슬랩 전송 레벨
  • QC8 = 플레이트 전송 레벨

이제 플러그인을 열지 않고도 Inspector/MixConsole에서 톤과 공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노트북이나 컨트롤러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VI. 리드 대 스택: 복제본이 아닌 “가족”을 만드세요

  • 리드: 모노로 단단한 중앙; 최소한의 와이더; 스토리를 앞으로 유지하기 위해 볼륨 자동화.
  • 더블 L/R: 더 높은 HPF, 약간 더 많은 디-에스, −6에서 −9 dB로 살짝 숨김; 미세 팬 좌/우; 모노에서 무너지는 코러스 와이더는 피하세요.
  • 하모니: 리드보다 어두운 EQ, 더 넓음; 필요할 때만 5 kHz 주변에 +0.5–1 dB로 반짝임 추가 선택 가능.
  • 애드립: 좁은 대역폭 (HPF 약 200 Hz, LPF 약 8–10 kHz), 사이드 팬, 전환 시 짧은 에코.

역할별로 프리셋 하나씩 저장—리드 — 클린, 더블 — 타이트, 하모니 — 와이드—그래서 즉각적이고 일관된 리콜 가능.

VII. 시간 & 공간 (FX 채널이 무거운 작업 담당)

  1. 만들기 FX 채널 A = 슬랩: 모노/스테레오 딜레이 약 90–110 ms; HPF 150 Hz, LPF 6 kHz; 낮은 피드백.
  2. 만들기 FX 채널 B = 플레이트: REVelation 또는 0.7–1.0초 플레이트 플러그인; 프리딜레이 20–50 ms; 리턴 필터링.
  3. 전송 자동화: 후크에 +1–2 dB; 밀도 높은 구절에서는 낮추기; 히스를 피하기 위해 리턴은 필터링 유지.
  4. 슬랩을 덕킹하세요: 슬랩 FX 채널에 컴프레서를 삽입하세요; 리드에서 사이드체인; 빠른 어택/릴리즈로 음절 사이에 에코가 피어납니다.

VIII. 투트랙 비트 (밝은 하이햇, 무거운 서브)

  • 싸우지 말고 깎아내세요: 악기 버스에서 보컬 라인 동안 부드러운 사이드체인 미드 딥(2–4 kHz)이 자음을 돋보이게 하면서 비트를 얇게 만들지 않습니다.
  • 서브 공존: 808 꼬리 아래에서 단어가 사라지면, 구절을 더 건조하게 유지하고 무거운 컴프레션 대신 작은 프레즌스 리프트를 추가하세요.
  • 모노 체크: 컨트롤 룸 모노 버튼을 누르세요; 휴대폰에서 스토리가 살아남으면 선택이 잘 전달된 것입니다.

IX. 스톡 전용 “스타터 체인” (어디서나 재구성 가능)

  1. 채널 EQ (첫 번째): HPF 80–100 Hz; 박스형 소리가 나면 250–350 Hz에서 넓게 −1에서 −2 dB; 코맹맹이 소리가 나면 1 kHz 근처에 선택적 좁은 노치.
  2. 채널 스트립 → 컴프레서 A: 비율 2:1–3:1; 어택 10–30 ms; 릴리즈 80–160 ms; 구절에서 약 3–5 dB GR.
  3. 채널 스트립 → 디-에서: 목표 6–8 kHz; 이어버드가 편안해질 때까지 감소; 자음이 둔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4. 채널 스트립 → 컴프레서 B (캐처): 더 빠르고, 피크에 1–2 dB; 센드 안정화.
  5. Magneto II (선택 사항): 밀도를 위한 가벼운 새츄레이션; 출력 매칭되어 “더 크게” 착각 방지.
  6. 채널 EQ (마무리): 발음이 묻힐 때만 3–4 kHz 주변에 +0.5–1 dB 광대역; 마지막에 아주 작은 Air 셸프.

이것을 트랙 프리셋으로 래핑하고 퀵 컨트롤(Trim/De-Ess/Body/Presence/Air/Comp/Slap/Plate)에 매핑. Lead — Stock Clean으로 저장.

X. 위치 잃지 않고 프리셋 빠르게 오디션

  1. MediaBay 즐겨찾기: 벤더 폴더를 즐겨찾기로 추가; 상위 3개에 별 표시; 선택지 적을수록 작업 빨라짐.
  2. 레벨 매치 A/B: 체인 끝에 트림 유지; 출력 일정하게 유지하며 프리셋 전환.
  3. MixConsole 스냅샷: 빠른 비교를 위해 몇 가지 상태(Clean, Air+, Warm) 캡처.

XI. 녹음 vs. 믹싱: 무엇을 프린트할지

드라이로 녹음, 웻으로 듣기: 프리셋을 통해 모니터링하되 깨끗한 입력을 녹음. 협업자가 “데모 바이브”가 필요하면 Lead를 프린트 그룹으로 라우팅하고 Lead_Wet 트랙 녹음. 이름은 명확히 유지 (Lead_Dry, Lead_Wet).

늦게 커밋: 무거운 FX는 프리즈하거나 끝에 가까워질 때 스템 렌더링; 리콜용 “_FXPRINT” 트랙 유지.

XII. 라인을 살리는 자동화 (마이크로, 매크로 아님)

  • 볼륨 라이딩: 다운비트에 +0.5–1 dB; 혀 꼬임 구절에는 −0.5 dB.
  • 디에스 임계값: 밝은 구절에는 약간 더 엄격하게, 어두운 구절에는 느슨하게 설정.
  • Send 라이딩: Slap/Plate를 후크에 밀어넣고; 빽빽한 벌스에서는 뒤로 당기며; 꼬리는 필터링 상태로 둠.

XIII. 조직 및 리콜 (오늘의 분, 나중에 절약된 시간)

  • 정렬되는 이름: 리드 — 클린, 리드 — 에어+, 랩 — 펀치, 하모니 — 와이드, 애드립 — 전화.
  • 역할별 하나씩: Lead/Doubles/Harmonies용 별도 프리셋으로 과도한 디에싱 스택이나 중앙 과도 밝기 방지.
  • MediaBay 태그: Use (Lead/Rap/R&B), Vibe (Clean/Airy/Warm), Mic (SM7B/NT1 등)로 태그 지정.
  • 템플릿: 레인과 FX 채널이 포함된 프로젝트 템플릿을 유지하고; 모든 곡을 여기서 시작.

XIV. 문제 해결 (문제 → 집중 조치)

  • Air를 추가한 후 Harsh S: De-Ess를 약간 올리고; Air는 약 0.5 dB 줄이며; 로우패스 FX는 약 6–7 kHz로 복귀.
  • 808 아래에서 보컬이 묻힘: 벌스는 더 건조하게 유지하고; Presence를 약간 올리며; 라인 중에는 악기에서 미묘한 중음 딥을 추가하세요.
  • 내보낼 때 프리셋 소리가 다름: 품질/오버샘플링 스위치와 마스터 버스를 확인하고; 클리핑을 피하며; Control Room 설정을 일관되게 유지하세요.
  • 트래킹 중 지연: 버퍼를 낮추고; 긴 리버브는 우회하며; 인터페이스가 지원하면 Control Room 큐를 사용해 직접 모니터링하세요.
  • 매크로(QC)는 아무것도 움직이지 않습니다: 매개변수를 QC에 다시 매핑하고 트랙 프리셋을 다시 저장하여 할당이 유지되도록 하세요.
  • A/B 테스트에서 레벨 차이: 최종 Trim으로 레벨을 맞추세요; 더 큰 소리가 귀에 불공평하게 이깁니다.

XV. 캡처가 중요합니다(프리셋이 감사할 것입니다)

프리셋은 일관된 캡처에서 빛납니다: 안정적인 마이크 거리, 팝 필터, 처리된 코너, 그리고 합리적인 모니터링. 

XVI. 빠른 FAQ

피치 보정은 어디에 두어야 하나요?
첫 번째 또는 거의 맨 위(입력 트림 후)에 두어 다운스트림 컴프레션/De-Ess가 안정적인 신호를 받도록 하세요.

컴프레서 하나가 좋을까요, 두 개가 좋을까요?
두 개가 더 부드럽습니다: Comp A는 구절을 형성(3–5 dB GR); Comp B는 피크를 잡습니다(1–2 dB GR).

믹싱할 때 보컬은 얼마나 크게 해야 하나요?
포스트 FX 피크는 약 −6에서 −3 dBFS 사이로 유지하고; 진정한 피크 안전과 전체 음량은 마스터링에 맡기세요.

프리셋에 언급된 마이크가 꼭 필요한가요?
아니요. 프리셋은 출발점일 뿐입니다. Trim, De-Ess, Body, Presence, FX를 자신의 목소리/마이크에 맞게 조정하세요.


XVII. 빠른 실행 계획 (복사 가능)

  1. 트랙/FX 프리셋을 불러오고; 구절에서 Comp A가 3–5 dB를 살짝 넘기도록 Trim을 설정하세요.
  2. De-Ess는 “부드럽고 밝게” 설정하세요, 둔탁하지 않게; 발음이 숨겨질 때만 아주 작은 Presence를 추가하세요.
  3. Slap/Plate FX 채널을 라우팅하고; 리턴을 필터링하며; 훅으로 보내는 신호를 자동화하세요.
  4. 퀵 컨트롤(Trim/De-Ess/Body/Presence/Air/Comp/Slap/Plate)을 매핑하고 자신의 버전을 저장하세요.
  5. 역할 기반 프리셋(리드, 더블, 하모니)을 만들고; 미래 노래는 템플릿에서 시작하세요.

잘 사용하면 보컬 프리셋은 신뢰할 수 있는 지름길이지, 버팀목이 아닙니다. 헤드룸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작은 변화를 주며, 중요한 부분을 자동화하면 목소리가 거칠지 않게 앞으로 나옵니다—노래마다. 이미 이러한 규칙을 따르는 랙에서 시작하고 싶다면, 목적에 맞게 제작된 Cubase 녹음 템플릿을 사용해 빠르고 일관된 세션을 위해 자신만의 “최적화” 버전을 고정해 보세요.

이전 게시물 다음 게시물

믹싱 서비스

노래를 전문적으로 믹싱 및 마스터링해야 하는 경우, 저희 믹싱 및 마스터링 서비스를 자유롭게 확인해 보세요.

지금 탐색하기

보컬 프리셋

보컬 프리셋으로 보컬 트랙을 손쉽게 향상시키세요. 탁월한 성능을 위해 최적화된 이 프리셋은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뛰어난 보컬 품질을 달성하기 위한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몇 가지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보컬이 선명하고 현대적인 우아함으로 돋보이게 되어, 보컬 프리셋은 모든 녹음 아티스트, 음악 프로듀서, 오디오 엔지니어에게 필수적인 자산으로 자리잡습니다.

지금 탐색하기

BCHILL MUSIC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Byron이고 저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전문 음악 프로듀서이자 믹싱 엔지니어입니다. 오늘 믹싱/마스터링 서비스 문의하세요.

서비스

우리는 업계 표준 믹싱 서비스, 마스터링 서비스, 음악 제작 서비스뿐만 아니라 전문 녹음 및 믹싱 템플릿을 포함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합니다.

혼합 서비스

지금 탐색하기

서비스 마스터링

서비스 마스터링

보컬 프리셋

지금 탐색하기
Adoric Bundles Embed